햇빛과 바람 기후 예측 정보로 태양광·풍력의 안정적 전력 생산 돕는다

본문
기상청(청장 이미선)은 매주 목요일 다음 1주간의 평균 일사량과 평균 풍속 예측 정보를 9월 25일부터 새롭게 제공한다.
기후 변화가 가속화되며 정부는 기후 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경제 사회를 보호하고, 탄소 중립 이행 및 재생 에너지로의 대전환과 경제 성장을 추진하고자 123대 국정과제로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전략을 수립했다.
기상청은 기후 감시 예측 정보 서비스 누리집(www.kma.go.kr/cpd/)을 통해 매주 목요일에 기후 예측 자료 기반으로, 다음 1주간의 평균일사량(하향단파복사량,W/㎡)과 평균풍속(지상 10m·100m, m/s)을 평년(1991~2020년간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많을(강할) 확률, 비슷할 확률, 적을(약할)확률의 지도 형태로 제공한다.
매주 제공되는 1주간의 평균일사량과 평균풍속 예측정 보는 태양광·풍력발전량 예측의 핵심 정보로 재생 에너지 산업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전력수급 관리에 활용된다.
한편 모바일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이성을 고려하여 누구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나 태블릿으로 접속해도 자동으로 화면 크기가 조정되는 반응형 웹페이지도 함께 선보인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기후 감시예측 정보 서비스에 접속하면, 일사와 바람 예측 정보 외에도 한반도에서 전 세계에 이르는 주요 기후 감시 현황과 기후 예측 모델 결과를 간편하고 보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미선 기상청장은 “이제는 과거의 기후 자료만으로 태양광 및 풍력발전량을 예측하는 경우, 미래의 기후변화와 이상 기후의 영향을 반영하기 어려워졌다”라며, “탄소 중립을 위한 재생 에너지의 보급·확대를 지원하고자 맞춤형 기후예측 서비스를 확대·제공하는 등 탄소 중립 사회 실현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