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악의 핵 오염지, 최대 태양광 발전소로 친환경 탈바꿈” > 업계동향

본문 바로가기

업계동향

“美 최악의 핵 오염지, 최대 태양광 발전소로 친환경 탈바꿈”

profile_image
박담 기자
2025-03-14 09:38 0

본문

eabda138f5aa6ef6c892ba62af401dce_1741912328_6321.jpeg
한포드 핵저장시설. 리치랜드, 워싱턴. 출처 : 뉴욕타임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몇 주 동안 석유 및 가스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재생 에너지 전환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워싱턴 주에서는 정부 주도의 국가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1943년부터 1989년까지 미국의 핵무기 개발 중심지였던 핸퍼드 핵 시설(Hanford Nuclear Reservation)은 수십 년 동안 방사성 및 화학 폐기물 정화 작업을 거쳐 이제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부지로 탈바꿈할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해 개발사로 선정된 헤카테(Hecate)는 방사능 오염 제거가 완료된 부지 중 10,300에이커(약 42㎢)에 달하는 지역을 사용할 예정이다.


헤카테는 이미 뉴욕 센트럴 파크의 약 10배에 이르는 8,000에이커 부지에서 현장 평가를 시작했으며, 총 345만 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계획이다. 2030년에 완공될 예정인 이 프로젝트는 최대 2,0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생산하고, 별도로 2,000메가와트를 대규모 배터리에 저장할 계획이며 총 사업비는 4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재 미국 최대 규모인 네바다주의 코퍼 마운틴 태양광 발전소(802MW)의 두 배 이상 규모다.


다만 이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했던 청정 에너지 발전 확대 계획을 저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니퍼 그랜홈 전 에너지부 장관은 "이러한 부지들이 국가 안보를 위해 개발된 만큼 방치하는 것은 국가 안보나 에너지 안보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클린턴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차관보를 지낸 댄 라이허는 이번 프로젝트가 "정부가 청소 작업을 진척시키고 민간 개발자를 모집해 추진한 성과"라며 지원을 표했다. 또한 헤카테가 에너지부로부터 토지를 임대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민간 태양광 개발자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이 지역의 임대료는 연간 에이커당 약 300달러 수준이다.


헤카테의 개발 책임자 알렉스 퓨는 정치적 상황 변화와 무관하게 프로젝트의 기반이 튼튼하며, 이 지역의 전력 수요가 높기 때문에 사업성을 자신하고 있다. 특히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가 늘어나면서 전력 수요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 태양광 발전소 예정지는 이전에 방사능 오염이 제거된 곳 근처이며,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원자로였던 B 원자로에서 불과 20마일(약 32km) 떨어져 있다. 핸퍼드 시설은 과거 미군 핵무기 플루토늄 생산량의 3분의 2를 생산한 곳으로, 폐쇄 당시 지하 탱크에 5,400만 갤런의 방사능 폐기물이 남아 있었다. 미국 정부는 1990년부터 본격적인 정화 작업에 들어갔으나 기술적 문제와 예산 삭감으로 인해 수차례 난항을 겪었고, 정화 작업은 금세기 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경제단체인 트라이 시티 개발 협의회는 초기에는 프로젝트 규모에 우려를 표했지만,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소가 이 지역의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지하고 있다.


헤카테는 미국 12개 주에서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개발한 경험이 있으며, 스페인의 석유 가스 기업 렙솔(Repsol)이 지분 40%를 소유하고 있다. 헤카테 측은 오염된 토양이나 물과 같은 예상치 못한 환경 위험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은 시대적 과제다. 원자력 발전은 효율적이지만 방사성 폐기물과 같은 환경적 후유증이 크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미국 핸퍼드 시설의 사례를 교훈 삼아 보다 신중하고 균형 잡힌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타산지석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9 건 - 1 페이지

“아마존, 재생에너지 글로벌 리더로 떠올라…연간 8.8GW 확보”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아마존이 최근 5년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재생에너지를 구매한 민간 기업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3년 한 해 동안만 전 세계 16개 지역에서 74건의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며 총 8.8GW의 재생…

박담 기자 2025.05.02

미국 정부, 동남아 우회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고율 관세 확정

미국 정부가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4개국을 통해 우회 수출되는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고율의 반덤핑·상계 관세 부과 방침을 확정했다.21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중국의 대표적 태양광 업체인 징코 솔라(Jinko S…

박담 기자 2025.04.22

민간 주도 태양광 붐…파키스탄, 글로벌 에너지 전환 선두로

파키스탄, 글로벌 태양광 시장 급부상…경제위기 속 놀라운 성장2024년 말 기준, 파키스탄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태양광 패널을 수입한 국가 중 하나로 떠올랐다. 영국의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의 '2025 글로벌 전력 리뷰'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지난해에만 1…

박담 기자 2025.04.14

태양광 보급에 진심인 호주 정부, '가정용 배터리' 지원 공약

호주 정부, 가정용 태양광 배터리 설치 지원에 23억 호주달러 투입앤서니 앨버니지(Anthony Albanese) 호주 총리는 7일(현지시간) 총 23억 호주달러(약 1조8천억원)를 투입해 각 가정이 태양광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가정용 배터리 설치 비용을 지원할 것이…

박담 기자 2025.04.08

“미국 태양광 시장, 역대급 성장으로 재생 에너지 시대 증명”

2024년 미국 태양광 산업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약 50GW의 신규 설치 용량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신규 발전 용량의 66%를 차지한 태양광 산업은 이제 미국 에너지 시장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특히 유틸리티급 태양광은 41.4GW…

박담 기자 2025.04.03

Aptera, 첫 태양광 전기차 로드트립 성공...한 번 충전으로 300마일 주행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Aptera)가 최근 획기적인 성과를 거뒀다. Aptera는 자사의 양산형 차량으로 첫 태양광 지원 로드트립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미래의 개념을 넘어 현실에서 즉각 활용 가능한 솔루션임을 입증했다.출처 : 앱테라 홈페이지이번 로드트립에…

박담 기자 2025.04.01

OCI홀딩스, 美 텍사스에 2억 6,500만 달러 투자해 태양광 셀 신규 법인 설립

OCI홀딩스는 20일 미국 태양광사업 자회사인 미션솔라에너지(MSE : Mission Solar Energy)의 부지에 독자적으로 태양광 셀 생산 공장을 세워 미국 태양광 밸류체인 확장에 나선다고 밝혔다.총 2억 6,500만 달러(한…

이지영 기자 2025.03.21

“서섹스大 연구, ‘지붕 태양광’이 미래 에너지 해법”

전 세계의 모든 적합한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다면 인류 전체 전력 소비량의 3분의 2를 공급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세계는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룰 수 있다.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태양광 패널 설치가 가능한 …

박담 기자 2025.03.16

열람중“美 최악의 핵 오염지, 최대 태양광 발전소로 친환경 탈바꿈”

한포드 핵저장시설. 리치랜드, 워싱턴. 출처 : 뉴욕타임즈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몇 주 동안 석유 및 가스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재생 에너지 전환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워싱턴 주에서는 정부 주도의 국가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가 …

박담 기자 2025.03.14

美, 中태양광 겨냥해 양면형 패널에 관세·동남아 우회수출 차단(종합)

백악관, 양면형 패널·동남아4국 태양광 패널 관세유예 종료언론 "美정부, 이달 말 중국산 합성흑연에 25% 관세부과 발표"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미국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태양 전지에 대한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키로 한 데 이어 중국의 태양…

솔라원 2025.01.20

美, 中태양광 겨냥해 양면형 패널에 관세·동남아 우회수출 차단(종합)

백악관, 양면형 패널·동남아4국 태양광 패널 관세유예 종료언론 "美정부, 이달 말 중국산 합성흑연에 25% 관세부과 발표"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미국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태양 전지에 대한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키로 한 데 이어 중국의 태양…

솔라원 2025.01.20

“美 신규 발전용량 절반이 태양광…한국도 공정한 정책적 지원 절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태양광 발전과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신규 설치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미국에서 신규로 설치되는 발전시설의 용량은 총 63GW로 지난해보다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0…

박담 기자 2025.03.13
기사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