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태양광 패널 반덤핑 조사 확대…한국 태양광 북미 시장 수혜 전망

본문
미국 정부가 태양광 패널 시장에 대한 무역 규제를 한층 강화하며 한국 기업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7일(현지 시각)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산 태양광 패널에 대해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를 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중국 제조사들이 기존 관세가 부과된 동남아 4개국을 우회하기 위해 생산 거점을 새롭게 옮긴 데 따른 조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국가들의 덤핑 마진은 인도가 123.04%, 인도네시아가 94.36%, 라오스가 123.12%에서 최대 190.1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 상무부는 국제무역위원회(USITC)와 함께 예비 판정 절차를 진행하며, 상계관세 예비 판정은 10월 13일, 반덤핑관세 예비 판정은 12월 26일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는 이번 조사로 한국 태양광 업체, 특히 미국 현지 생산 거점을 보유한 한화큐셀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산 셀·모듈의 우회 수출이 제한될 경우 미국 시장 내 점유율 확대 기회가 커지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공급망 리스크 관리 강화가 한국 기업에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이번 조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이후 자국 내 제조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 정책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 시장에 안정적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이 정책 변화의 수혜자가 될 것”이라며 “한국 업체들의 북미 전략이 한층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