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시민, 기후변화에 여전히 우려…정부 신뢰는 낮아져

본문
– 유럽 5개국 여론조사 결과 발표: “기후대응은 필요하지만, 정부가 해결할 것이라 믿지 않아”
– 기후 우선순위 여전…‘적응’ 선호 늘고, 정치 냉소감이 회의론 확산시켜
2025년 6월 30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5-12호에 따르면, 유럽 시민들은 여전히 기후변화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나, 정부의 대응 역량에 대해서는 신뢰를 보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폴란드, 스웨덴 등 EU 주요 5개국에서 2020년과 2024년에 각각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총 7,819명 응답)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은 공감…“모든 수단 동원” 응답은 감소
응답자 대다수는 기후변화를 실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아무 조치도 필요 없다”는 응답은 10% 미만에 불과했다. 반면, 2020년 대비 2024년에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감소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해야 한다”는 응답이 증가해 대응 방식의 변화가 감지됐다.
정부 대응에 대한 신뢰는 낮아져
정치 제도와 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정치에 냉소적인 시민일수록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에 회의적인 시각을 가질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정부가 시민의 삶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기후정책, 여전히 정책 우선순위…정치 성향과 무관
EU 정책 우선과제를 묻는 항목에서 ‘기후 및 환경 지속가능성’은 경제성장, 안보 다음인 3위로 집계됐다. 이는 녹색당 지지자뿐만 아니라 보수·자유·좌파 등 다양한 정치 성향의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회의론 확산…극우정당 지지층에서 뚜렷
기후변화의 원인이 인간 활동이라는 인식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특히 극우정당 지지자 중 다수가 기후변화를 ‘자연적 현상’으로 간주하거나 실재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정당 성향에 따른 인식 격차가 뚜렷했다.
실질적 삶의 개선과 신뢰 회복이 관건
보고서는 “유럽 시민들은 여전히 기후대응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는 특정 정당이나 계층을 넘어선 광범위한 관심사”라고 분석했다. 다만 “정치에 대한 냉소감과 정부 불신이 커질수록 대응 방식이 소극적으로 전환되고, 극우정당의 회의론적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정책 입안자들은 기후정책을 단순한 공약이나 규제로 접근하기보다는 시민의 실질적 삶과 연계해 설계해야 하며, 강력한 대응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언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