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재생에너지 글로벌 리더로 떠올라…연간 8.8GW 확보” > 업계동향

본문 바로가기

업계동향

“아마존, 재생에너지 글로벌 리더로 떠올라…연간 8.8GW 확보”

profile_image
박담 기자
2025-05-02 09:53 0

본문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아마존이 최근 5년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재생에너지를 구매한 민간 기업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3년 한 해 동안만 전 세계 16개 지역에서 74건의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며 총 8.8GW의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확보했다. 이는 2위인 메타가 같은 기간 확보한 3GW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이다.


아마존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600개 이상의 태양광 및 풍력 프로젝트에 투자자 또는 구매자로 참여 중이며, 이들 프로젝트는 소규모 옥상형 설치부터 대규모 발전소까지 다양하다. 특히 2023년 이후 아마존은 자사의 전체 전력 소비량을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에너지 전략 수석인 패트릭 레너드는 “단순히 자사 전력 소비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력망 전체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 목표”라며 이를 위해 탄소 배출이 높은 지역에 더욱 적극적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아마존은 인도에서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스웨덴에서 동일 규모로 설치될 때보다 더 큰 탄소 감축 효과를 낸다고 밝혔다. 이는 인도의 높은 석탄 의존도 때문이다.


한편, 아마존은 재생에너지 생산이 많은 지역에서는 에너지 저장 및 퍼밍 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이미 약 2.7GW 규모의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를 통해 태양광 발전량이 부족한 시간대의 전력 공급 안정화를 추진 중이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와 같은 에너지 소비가 높은 시설을 위한 안정적 전력 공급망 구축도 강화하고 있다. 아마존은 미시시피주에서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과 함께 650M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계획하고 있다.

아마존은 또한 차세대 원자력 기술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펜실베이니아주 서스쿼해나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 신규 데이터센터를 짓고 운영사인 테일런 에너지와 PPA 체결을 추진 중이며, 미국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기업인 엑스에너지에도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태양광 부문에서도 차세대 설치 로봇 도입 등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으나, 차세대 태양광 모듈 및 배터리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는 현재까지 계획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아마존의 적극적인 행보는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할 뿐 아니라,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만으로 모든 에너지 수요를 충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태양광과 풍력 외에도 원자력, 수력, 수소 등 다양한 에너지원과의 조화로운 발전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049999dccef6d88149ba800351067997_1746147210_8727.jpe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6 건 - 1 페이지

[정운의 글로벌 리포트] 글로벌 태양광 시장, 미국·중국 성장 속 유럽 둔화와 중동 확장

전 세계 태양광 시장이 각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대규모 프로젝트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가는 반면, 유럽은 보조금 삭감과 전력망 과잉으로 주춤하고 있다. 중동은 대형 프로젝트와 신규 플랫폼을 통해 본격적인 재생에너지 확산에 나섰으며, 아시아 …

정운 기자 2025.08.22

OCI홀딩스, 美 텍사스 100MW 규모 태양광 프로젝트 매각

- 자회사 OCI Energy, 사반치 리뉴어블스에 럭키 7 프로젝트 사업권 매각 완료- 2027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댈러스 북동부의 홉킨스 카운티에 개발 예정OCI홀딩스는 13일(현지 시간) 미국 태양광 자회사 OCI Energy가 사반치 리뉴어블스와 10…

이지영 기자 2025.08.19

[정운의 글로벌 리포트] 글로벌 태양광 산업, 미국 성장 둔화 속 지역별 온도차 뚜렷

2025년 8월 둘째 주, 주요 국가들의 태양광 산업 동향에서 성장과 제약이 교차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미국은 정책 변수로 성장세가 둔화되는 반면, 아시아 일부 국가는 기존의 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의 청정에너지 신규 설비 용량 증가는 올해 7%로, 최근…

정운 기자 2025.08.15

미국, 태양광 패널 반덤핑 조사 확대…한국 태양광 북미 시장 수혜 전망

미국 정부가 태양광 패널 시장에 대한 무역 규제를 한층 강화하며 한국 기업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7일(현지 시각)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산 태양광 패널에 대해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를 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중국 제조사들이 기존 관세…

박담 기자 2025.08.14

한-베트남, 청정에너지·태양광 협력 강화… 11건 MOU 체결

김민석 국무총리는 8월 12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양국 간 청정에너지와 전력망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또 럼(To Lam) 베트남 당 서기장의 국빈 방한을 계기로 마련됐으며, 산업통상자원부와…

박담 기자 2025.08.13

[글로벌 이슈 리포트] 미국·중국·독일·일본… 세계 태양광 판도 속 한국의 선택

세계 태양광 산업이 각국의 정책, 기술, 시장 상황에 따라 뚜렷하게 갈라지고 있다. 이번 주 흐름만 봐도, 미국은 정책 축소로 수요 위축 경고가 나오고, 중국은 초고속 성장의 그늘에 공급 과잉이 드리운다. 독일은 성장세를 유지하지만 유럽 전체는 10년 만에 처음 역성장…

정운 기자 2025.08.08

한국동서발전, 요르단과 그린수소 기술기반 구축 기술교류회 개최 -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 요르단과 그린수소 기술기반 구축 기술교류회 개최- 그린수소 기술개발 및 사업추진 현황 공유한국동서발전(주)(사장 권명호)는 6일(수) 그린수소 연구개발(R&D) 클러스터에서 열린‘그린수소 기술 기반 구축을 위한 역량강화 기술교류회’를 통해 요르단 정부 관계자…

이지영 기자 2025.08.06

유럽 시민, 기후변화에 여전히 우려…정부 신뢰는 낮아져

– 유럽 5개국 여론조사 결과 발표: “기후대응은 필요하지만, 정부가 해결할 것이라 믿지 않아”– 기후 우선순위 여전…‘적응’ 선호 늘고, 정치 냉소감이 회의론 확산시켜2025년 6월 30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5-12호에 따르면, …

박담 기자 2025.06.30

[태일루의 시선]“원전은 끝났다”를 고집하는 나라 – 독일의 뚝심

정치는 한 번 내뱉은 말을 얼마나 끝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가의 예술이다. 독일은 2011년 후쿠시마를 본 순간, 원자력과의 이별을 결정했다. 그리고 2025년 오늘, 그 약속을 아직도 지키고 있다. 원전 재개 안건이 독일 의회에서 다시 부결되었다. 국민 절반 이상이 찬…

태일루 기자 2025.06.07

한수원, 재생에너지 자원 풍부한 타지키스탄 정부 관계자 등 한국수력원자력 방문

- 재생에너지 자원 풍부한 타지키스탄과 협력 기초타지키스탄 에너지수자원부와 주요 에너지 기관 관계자 등 9명이 29일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 본사를 방문했다. (사진 제공: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전력난을 겪는 타지키스탄 수그, 고…

이지영 기자 2025.05.31

대만 '탈핵'..동아시아 최초 원전 없는 나라로..

“대만은 탈핵했다, 이제 한국이 나아갈 차례”2025년 5월 17일, 대만의 마지막 핵발전소인 마안산 제3원전 2호기의 운영이 종료되며 대만은 동아시아 최초로 ‘운영 중인 원전이 없는 나라’가 되었다. 제21회 반핵아시아포럼(NNAF)이 열리고 있는 대만 타이베이에서 …

박담 기자 2025.05.22

[태일루의 시선]세계 최초 ‘태양광 슈퍼패널’ 공개한 일본…다시 주목받는 재생에너지 기술

일본이 또 한 번 판을 흔들 준비를 하고 있다. 이른바 ‘태양광 슈퍼패널’. 기존 원전 20기에 해당하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야심찬 발표다. 핵심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SC) 기술이다. 가볍고, 유연하고, 어디에든 붙일 수…

태일루 기자 2025.05.20

열람중“아마존, 재생에너지 글로벌 리더로 떠올라…연간 8.8GW 확보”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아마존이 최근 5년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재생에너지를 구매한 민간 기업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3년 한 해 동안만 전 세계 16개 지역에서 74건의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며 총 8.8GW의 재생…

박담 기자 2025.05.02
기사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