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정부의 에너지 정책]태양광, 신재생에너지 중요한 축

-
15회 연결
본문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에너지 정책에서 중요한 변화를 발표했다. 윤석열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목표로 여러 가지 에너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주요변화 부분은 크게 다섯가지로 ①원자력 에너지 확대 ②에너지 수요 효율화 및 시장구조 확립 ③재생에너지 및 수소산업 육성 ④에너지 신산업의 수출산업화 ⑤수입선 다변화 및 자원개발로 압축된다. AI타임스는 이 같은 정부정책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에너지 신산업의 수출산업화
정부는 에너지 신산업을 수출산업화하고 성장동력화할 계획이다. 이는 원전, 수소, 태양광, 풍력 등의 에너지 산업을 대상으로 하며, 민관 합동으로 추진된다. 이 과정에서 혁신기술 개발과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이 포함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 신산업과 수출 산업화를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주요 계획에는 원전, 수소, 재생에너지, 전력 계통,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의 분야에서 수출을 2배로 확대하는 목표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100조 원 이상의 민관 금융 투자가 예상되며, 소형모듈원전(SMR), 초고압 직류송전(HVDC) 케이블, 수소 터빈 등 10개 이상의 품목을 세계 Top 3에 진입시키려는 전략이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부의 정책이 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수출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특히 연료전지와 같은 신기술의 산업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태양광 설비 용량을 현재의 3배로 확대할 계획이며,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전체 설비 용량을 119.5GW로 늘릴 계획이다. 태양광 발전 비중은 2030년까지 12.6%로 설정되어 있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