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 에너지 드라이브…태양광·풍력, 20조 시장 열린다

본문
이재명 정부가 에너지 전환을 핵심 국정과제로 확정하면서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세가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2030년 누적 재생에너지 설치 목표를 기존 78GW에서 최대 100GW 수준으로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입법과 규제 완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은 2024년 기준 약 6%로 OECD 평균 27%와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같은 해 6월 OECD 평균은 36%까지 상승했으나, 우리 나라의 보급률은 여전히 낮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은 물론 RE100,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에도 불리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단기간 내 설치량 확대를 통해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연내 제정이 예상되는 RE100 산업단지 특별법과 영농형 태양광법, 내년 3월 시행되는 해상풍력특별법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동기조상기 설치 등 전력망 유연성 확보 대책도 병행된다. 정부는 이격거리 완화, 부처별 규제 정비를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 걸림돌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시장 규모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태양광·풍력 설치 시장은 2025년 약 5조원에서 2030년 15조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ESS와 연료전지를 포함할 경우 최대 2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태양광과 풍력 단지를 개발·운영하는 민간업체들은 정부 정책의 최대 수혜 산업으로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라며 “정부 정책 추진 속도와 전력망 인프라 개선 여부가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좌우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