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일루의 시선] 버려지는 전기, 대규모 산업 단지 수도권 고집 인식 버려야 > 정책/법

본문 바로가기

정책/법

[태일루의 시선] 버려지는 전기, 대규모 산업 단지 수도권 고집 인식 버려야

profile_image
태일루 기자
2025-07-23 13:57 0

본문

전남 해남의 들녘은 여전히 태양을 품는다. 오후 1시, 모듈 위로 바람이 지나가고 인버터는 묵묵히 출력 수치를 올린다. 그러나 이 전기는 어디에도 가지 못한다. 2.4GW. 전남·광주 지역에서만 계통에 연결되지 못하고 대기 중인 발전 용량이다. 전북까지 합치면 4GW를 넘긴다. 원자력발전소 네 기가 하릴없이 가동만 하고 있는 셈이다.


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만, 흘려보낼 길이 없다. 왜냐고? 망이 없다. 전력망, 송전선, 접속점, 어디 하나 제때 확충된 것이 없다. 발전사업자들은 대기표만 붙잡고 수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송전선은 수도권으로만 향해 있고, 변전소는 이미 포화다. '수요가 없어서 그렇다'고? 그건 핑계다. 수요는 있고 수요는 움직일 수 있다.


진짜 문제는 사람이 안 간다는 것보다 가지 않으려 한다는 데 있다.


용인, 평택, 수원. 엔지니어들이 희망 근무지로 꼽는 ‘남방 한계선’이다. 그 아래로는 경력을 쌓기 위한 임시 주둔지일 뿐 미래를 건 자리로 여기지 않는다. 전남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는 말에 의심부터 하고 전북에서 RE100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계획에 반신반의한다. 이는 지방의 문제가 아니다. 수도권에만 머무르려는 전체 산업 생태계의 사고방식이 병들어 있는 것이다.


서울이 아니라도 된다. 수도권이 아니라도 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빛은 남쪽에서 생산되고 있다. 전력의 중심이 남하했는데 왜 산업은 그대로인가?

왜 RE100 공장을 경기 남부에 짓고 왜 인재 양성도 서울 테두리에서만 이뤄지는가?

수도권의 땅값, 인건비, 계통 포화, 미세먼지까지 감안하면 이제는 대규모 산업이 지방으로 내려가야 할 시간이다.


과감해야 한다.

RE100을 진짜로 할 생각이라면 전북 김제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전남 해남에 반도체 전력 테스트베드를 만들어야 한다.

해외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해 사막과 해안에 공장을 짓듯이 우리도 이제는 ‘광역 경제권’ 개념을 버리고, 전력망을 따라 산업을 옮겨야 한다.


정부는 8.9GW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망 확충을 이야기하지만 그보다 선행돼야 할 건

“사람이 움직이게 만드는 비전”이다.


에너지 기반 스타트업이 전남 나주에 본사를 두는 일이 더 이상 이상해 보이지 않아야 한다.

지역 거점 국립대와 함께 R&D를 묶고 기업이 수도권이 아닌 남해안에 본사를 이전할 때 세금과 금융을 통째로 우대해줘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더 늦기 전에 말해야 한다.

“모든 전력은 수도권으로 가야 한다”는 말은, 틀렸다.

이제는 "수도권이 전력을 따라 내려가야 한다.”


버려지는 전기보다 더 안타까운 건,

지금 이 순간에도 바뀌지 않는 잘못된 중심성이다.


남부 지방은 태양이 뜨는 곳이다.

이제는 거기에 산업도 뜨게 해야 한다.


69ed022f50280615169c29e3f4808c9a_1753247129_1481.JP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0 건 - 1 페이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불확실…“전력 차질 땐 산업단지 운영 불가능”

국가 전략산업으로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계획이 안전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대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는 국회 입법조사처의 분석이 나왔다.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이슈와 논점」 제2401호 보고서에서 “안정적인 전력망 확보 없이는 클러스터 운…

박담 기자 2025.08.22

[태일루의 시선] 유럽 기후전략, 리더십을 잃을 것인가 지켜낼 것인가

유럽은 다시 한 번 기후를 권력의 언어로 세우려 한다. 탄소는 대기 속의 무해한 기호가 아니다. 그것은 국경세를 정당화하는 관세표이며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이고 국제 회의장에서 휘둘러지는 규율의 도구다. 2050년 탄소중립, 2040년 90% 감축이라는 숫자는 과학…

태일루 기자 2025.08.18

주차장, 불볕 더위 속 ‘친환경 발전소’로 변신한다 - 신재생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금년 11월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및 하위 고시인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일부 개정안을 마련하여 8월 14일(목)부터 9월 23일(화)까지 입법·행정예고를 실시한다…

박담 기자 2025.08.14

기후·에너지 정부조직 개편, 통합 거버넌스 구축 시급 - 국회입법조사처, 조직개편 쟁점·과제 분석 보고서 발…

국회입법조사처가 기후·에너지 관련 정부조직 개편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직 개편은 통합과 균형의 원리 아래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후위기 대응은 환경부 ‘…

박담 기자 2025.08.14

건물부문 탄소중립, 민간 건축물까지 확산 - 올해 12월부터 1천㎡ 이상 민간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기…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가 민간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강화를 위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개정안을 마련하고 8월 13일부터 20일간 행정 예고에 들어간다. 이번 개정은 그간 공공 부문 중심으로 추진해 온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정책을 민간까지 확산하는 조…

박담 기자 2025.08.12

[태일루의 시선] 전기는 빚으로 흐른다 – 한전 재무 현황 개선, 재생 에너지가 답

한국전력의 재무제표를 펼치면 전력은 에너지보다 부채의 형체로 먼저 다가온다. 2021년 말 60조 원이던 부채는 2024년 120조 원으로 불어났다.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112%에서 619%로 여섯 배 가까이 치솟았다. 영업이익 3조 원을 회복한 2024년에도, 연간…

태일루 기자 2025.08.11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논의… 환경·재생에너지 업계 ‘엇갈린 시선’

정부가 에너지 정책 부처 개편을 추진하면서 환경부로 에너지 업무를 이관하는 방안이 유력해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구상하는 ‘기후환경에너지부’(가칭)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던 재생에너지·전력 정책 일부를 통합해 기후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전담하게 된다. 환경단체…

박담 기자 2025.08.08

[태일루의 시선] LMP 효용성과 선결 과제

전기는 흘러야 하고, 흐르지 못하면 부패한다서울의 여름은 더 이상 ‘무더위’라고 부를 수 없다. 이것은 폭력이다. 폭염 속에서 돌아가는 에어컨, 냉장 창고, 데이터 서버, 심지어 카페 구석의 노트북까지—모두 전기를 탐욕스럽게 흡수한다. 전기는 무한하지 않다. 그리고 무…

태일루 기자 2025.08.04

정부,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세계 각국이 전력망 투자에 과감히 나서는 가운데, 우리도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으로 전력망 전환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ESS 등 분산 에너지를 AI 기술로 …

박담 기자 2025.08.01

폭염 속 전력수요 급증…태양광 발전, 시간대별 최대 22% 기여

7월 넷째 주, 전국을 강타한 폭염 속에 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태양광 발전이 시간대별로 최대 22%까지 수요를 감당하며 전력 수급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거래소(KPX)에 따르면 7월 25일과 28일 오후 2시 무렵 전국 총전력수요…

박담 기자 2025.07.29

윤준병 의원,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 대표 발의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국회의원(전북 정읍·고창)이 21일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을 대표 발의했다. 농지 위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농사와 발전을 병행하는 이른바 ‘영농형 태양광’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 농가 소득을 높이고 탄소 중립 전환을 가속하겠다는 취지다. …

박담 기자 2025.07.21

정부, RE100 산업단지 법제화 본격 착수

한전 재정 악화 우려 속, 전력요금 인센티브 논란 불붙어정부가 기업 대상 ‘RE100 산업단지’ 법제화에 본격 착수했다. 대통령실은 7월 내 특별법 입법예고를 지시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관련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규제 특례와 전기요금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 중이다.RE10…

박담 기자 2025.07.18
기사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