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후 대응·에너지 인프라 투자 확대…추경 통해 총 117억 원 증액

본문
정부가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인프라 강화를 위한 재정 투자를 확대한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는 고효율 송전 기술, 차세대 태양전지, 미세먼지 저감 장비 등 친환경 신산업 분야에 총 117억원이 증액 반영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2025년 하반기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추경안에 ▲고전압 송전 인프라 구축 60억원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10억원 ▲사물인터넷(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기기 지원 47억원 등을 포함했다고 15일 밝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에 60억 원
정부는 고전압직류송전(HVDC) 기술을 활용한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에 60억 원을 추가 투입한다. 이는 수도권과 서해안 재생에너지 거점을 연결하는 핵심 송전망으로, 향후 대규모 태양광·풍력 전원의 안정적 계통 연계를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존 송전망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고 탈탄소 전환에 맞춰 전력 흐름을 효율화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에 10억 원 추가
재생에너지 기술 고도화를 위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도 10억원이 추가 편성됐다. 특히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 및 이종접합 기술 등에 대한 국책 연구비가 확대된다. 이 사업은 국내 태양광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장기적인 수출 기반 확보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기 47억 원 지원
환경부는 소규모 대기배출 사업장의 부담을 줄이고 대기 질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기기 설치 지원 사업에 47억 원을 추가 투입한다. 해당 기기는 사업장 굴뚝 등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오염물질을 측정하며, 정부 데이터망과 연동돼 사각지대 없이 관리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장 규제 완화와 동시에 기후 대응형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데 효과가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 증액은 단기적인 경기 대응을 넘어 탄소중립 사회 전환과 에너지 구조 개편을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