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일루의 시선] 트럼프가 역주행해도 대세는 멈추지 않는다 > 정책/법

본문 바로가기

정책/법

[태일루의 시선] 트럼프가 역주행해도 대세는 멈추지 않는다

profile_image
태일루 기자
2025-07-01 13:51 0

본문

태양광 10% 돌파, 재생에너지 32.8%… 데이터가 말하는 진실


도널드 트럼프가 돌아온다고 해서, 태양은 지지 않는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2025년 4월 전력 통계는 이 사실을 숫자로 증명했다. 올해 4월, 태양광은 미국 전체 발전량의 10.7%를 차지하며 사상 처음 두 자릿수를 돌파했다. 풍력을 합치면 무려 24.6%. 석탄·원자력을 모두 앞질렀다.


이쯤 되면 “에너지 전환이 느려진다”는 말은 단순한 정치적 구호에 불과하다.


태양은 멈추지 않는다


4월 한 달, 유틸리티급(1MW 이상) 태양광 발전은 전년 동기 대비 39.3% 급증했고, 주택·상가 등 소규모 태양광도 11.8% 증가했다. 둘을 합치면 31.3% 성장. 이 성장은 반짝이 아니다. 2025년 1~4월 누적 발전량 기준으로 보면 유틸리티급은 42.4%, 소규모는 11.4% 늘었다. 총합으로 보면 32.9% 상승. 미국 전력의 7.7%를 태양광이 공급했다.


이 수치는 단순히 태양이 빛났다는 게 아니다. 미국 전력 시장의 구조가 지속적으로,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신호다.


풍력도 물러서지 않았다. 같은 기간 미국 전력의 12.6%를 담당했고, 4월만 보면 13.9%로 석탄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풍력과 태양광을 합치면 미국 전체 발전량의 4분의 1. 4월 단일 기준으로는 이 두 전원이 석탄보다 77.1%, 원자력보다 40.2% 더 많은 전기를 생산했다.


이제 미국에서 '베이스 로드 전원(Base Load Power)'은 과거의 단어다. 태양과 바람이 일정하지 않지만 충분히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기저 전원을 대체해 나가고 있다.


재생에너지, 천연가스를 따라잡다


모든 재생에너지를 합치면 4월 한 달 미국 전력의 32.8%. 천연가스는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인 35.1%를 차지했지만,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5년 전인 2020년에는 천연가스가 38.8%, 재생은 24.4%였다. 이젠 격차가 불과 2.3%포인트다. 지금 속도라면, 몇 년 내에 재생이 천연가스를 따라잡을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수력, 바이오매스, 지열은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 놀라운 건 태양광 하나가 이 세 가지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한다는 점이다.


‘역주행’이 아니라 ‘방해’에 불과하다


이 모든 변화는 트럼프가 다시 백악관에 들어왔든 말든 이미 가속도를 낸 흐름이다. 공화당이 규제 완화와 석탄 부활을 외친다 해도 자본은 이미 다른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전기요금, 송전비용, 기술비용, 시장 메커니즘, 투자 구조 모두가 태양과 바람을 향하고 있다.


트럼프의 에너지 정책은 ‘역주행’이 아니라 기껏해야 ‘방해’일 뿐이다.


결론은 하나다


미국의 전력 구조는 돌이킬 수 없는 전환점에 있다. 석탄은 무너졌고, 원자력은 제자리 걸음이며, 천연가스는 더 이상 압도적이지 않다. 이 모든 틈을 메우는 건 태양과 바람이다.


정치인은 흐름을 늦출 수는 있어도 바꾸지는 못한다. 대세는 이미 결정됐다. 데이터가 그렇게 말하고 있다.


6c1d1644090c20b02f23a9756807aa44_1751345487_4353.jpe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0 건 - 1 페이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불확실…“전력 차질 땐 산업단지 운영 불가능”

국가 전략산업으로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계획이 안전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대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는 국회 입법조사처의 분석이 나왔다.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이슈와 논점」 제2401호 보고서에서 “안정적인 전력망 확보 없이는 클러스터 운…

박담 기자 2025.08.22

[태일루의 시선] 유럽 기후전략, 리더십을 잃을 것인가 지켜낼 것인가

유럽은 다시 한 번 기후를 권력의 언어로 세우려 한다. 탄소는 대기 속의 무해한 기호가 아니다. 그것은 국경세를 정당화하는 관세표이며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이고 국제 회의장에서 휘둘러지는 규율의 도구다. 2050년 탄소중립, 2040년 90% 감축이라는 숫자는 과학…

태일루 기자 2025.08.18

주차장, 불볕 더위 속 ‘친환경 발전소’로 변신한다 - 신재생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금년 11월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및 하위 고시인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일부 개정안을 마련하여 8월 14일(목)부터 9월 23일(화)까지 입법·행정예고를 실시한다…

박담 기자 2025.08.14

기후·에너지 정부조직 개편, 통합 거버넌스 구축 시급 - 국회입법조사처, 조직개편 쟁점·과제 분석 보고서 발…

국회입법조사처가 기후·에너지 관련 정부조직 개편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직 개편은 통합과 균형의 원리 아래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후위기 대응은 환경부 ‘…

박담 기자 2025.08.14

건물부문 탄소중립, 민간 건축물까지 확산 - 올해 12월부터 1천㎡ 이상 민간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기…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가 민간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강화를 위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개정안을 마련하고 8월 13일부터 20일간 행정 예고에 들어간다. 이번 개정은 그간 공공 부문 중심으로 추진해 온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정책을 민간까지 확산하는 조…

박담 기자 2025.08.12

[태일루의 시선] 전기는 빚으로 흐른다 – 한전 재무 현황 개선, 재생 에너지가 답

한국전력의 재무제표를 펼치면 전력은 에너지보다 부채의 형체로 먼저 다가온다. 2021년 말 60조 원이던 부채는 2024년 120조 원으로 불어났다.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112%에서 619%로 여섯 배 가까이 치솟았다. 영업이익 3조 원을 회복한 2024년에도, 연간…

태일루 기자 2025.08.11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논의… 환경·재생에너지 업계 ‘엇갈린 시선’

정부가 에너지 정책 부처 개편을 추진하면서 환경부로 에너지 업무를 이관하는 방안이 유력해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구상하는 ‘기후환경에너지부’(가칭)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던 재생에너지·전력 정책 일부를 통합해 기후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전담하게 된다. 환경단체…

박담 기자 2025.08.08

[태일루의 시선] LMP 효용성과 선결 과제

전기는 흘러야 하고, 흐르지 못하면 부패한다서울의 여름은 더 이상 ‘무더위’라고 부를 수 없다. 이것은 폭력이다. 폭염 속에서 돌아가는 에어컨, 냉장 창고, 데이터 서버, 심지어 카페 구석의 노트북까지—모두 전기를 탐욕스럽게 흡수한다. 전기는 무한하지 않다. 그리고 무…

태일루 기자 2025.08.04

정부,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세계 각국이 전력망 투자에 과감히 나서는 가운데, 우리도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으로 전력망 전환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ESS 등 분산 에너지를 AI 기술로 …

박담 기자 2025.08.01

폭염 속 전력수요 급증…태양광 발전, 시간대별 최대 22% 기여

7월 넷째 주, 전국을 강타한 폭염 속에 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태양광 발전이 시간대별로 최대 22%까지 수요를 감당하며 전력 수급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거래소(KPX)에 따르면 7월 25일과 28일 오후 2시 무렵 전국 총전력수요…

박담 기자 2025.07.29

윤준병 의원,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 대표 발의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국회의원(전북 정읍·고창)이 21일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을 대표 발의했다. 농지 위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농사와 발전을 병행하는 이른바 ‘영농형 태양광’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 농가 소득을 높이고 탄소 중립 전환을 가속하겠다는 취지다. …

박담 기자 2025.07.21

정부, RE100 산업단지 법제화 본격 착수

한전 재정 악화 우려 속, 전력요금 인센티브 논란 불붙어정부가 기업 대상 ‘RE100 산업단지’ 법제화에 본격 착수했다. 대통령실은 7월 내 특별법 입법예고를 지시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관련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규제 특례와 전기요금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 중이다.RE10…

박담 기자 2025.07.18
기사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