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일루의 시선] 민간 아파트 태양광 의무화, 장기적으로는 이익이다 > 정책/법

본문 바로가기

정책/법

[태일루의 시선] 민간 아파트 태양광 의무화, 장기적으로는 이익이다

profile_image
태일루 기자
2025-06-22 09:58 0

본문

민간 아파트에 태양광을 의무화하면 서민 주거비가 오른다고 한다. 단골처럼 반복되는 주장이다. 그런데 정작 그 ‘부담’이 구체적으로 얼마인지 누구에게 얼마나 돌아가는지 명확히 말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신 “중국산 패널”, “친중 정책” 같은 정치적 수사를 덧붙여 반대 여론을 자극한다.


정부 추산은 이렇다. 전용 84㎡ 기준 약 130만 원의 추가 설치비가 든다.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매년 22만 원 정도를 아낄 수 있다. 약 5~6년 안에 원금이 회수된다. 패널 수명이 20년 이상임을 고려하면 나머지 15년 이상은 순이익이다. 이것이야말로 장기적 이익을 위한 초기 투자 아닌가.


물론 건설업계는 실제 설치비가 두 배 넘는다는 이야기를 한다. 기술 미숙과 시행 착오가 있다는 건 인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건 언제나 정책 초기의 문제다. 시간이 흐르면 설치 효율은 높아지고 자재 단가도 떨어진다. 시장은 그렇게 성장한다. 지금 반도체 공장 하나 짓는 데 수조 원이 들지만 20년 전엔 그것조차 “돈 낭비”라는 말이 있었다.


‘서민 주거비 부담’이라는 말 당장은 그럴 듯하다. 하지만 한 달 2만 원씩 줄어드는 전기요금, 여름철 덜 더운 실내 온도, 탄소세 부담을 줄이는 효과까지 생각하면 실질 부담은 거꾸로 줄어드는 셈이다. 정부의 에너지복지·분양가 상한제·금융 지원 제도까지 감안하면 그 ‘부담’은 더 작아진다.


더 중요한 건 이 정책이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지금 태양광을 설치하는 건 단지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해서가 아니다.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선택이다.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은 보다 정직하고 직접적인 방법을 택한 것이다.


중국 의존이 문제라고? 그렇다면 왜 태양광 산업 육성은 방치했나. 정책 반대 세력은 늘 한국 태양광 산업의 자립을 방해해 왔다. 지금이라도 국내 기술을 키우고 수입선을 다변화하는 계기로 삼으면 된다. 중국산 쓰기 싫다고 태양광 자체를 거부하는 건 자동차 값 오른다고 보행만 하자는 소리와 다를 게 없다.


탄소 중립은 미룰 수 있는 선택이 아니다. 이미 늦었고, 지금 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다.

태양광 의무화는 불편한 진실을 인정하는 정책이다. 정직한 정책에는 일시적 반발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 불편함은 결국 우리가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유산으로 바뀔 것이다.


우리는 지금 어떤 유산을 남길 것인가.


797f9c695d07f6ecb12c4fe197eca3f4_1750553899_0888.jpe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0 건 - 1 페이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 불확실…“전력 차질 땐 산업단지 운영 불가능”

국가 전략산업으로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계획이 안전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대한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는 국회 입법조사처의 분석이 나왔다.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이슈와 논점」 제2401호 보고서에서 “안정적인 전력망 확보 없이는 클러스터 운…

박담 기자 2025.08.22

[태일루의 시선] 유럽 기후전략, 리더십을 잃을 것인가 지켜낼 것인가

유럽은 다시 한 번 기후를 권력의 언어로 세우려 한다. 탄소는 대기 속의 무해한 기호가 아니다. 그것은 국경세를 정당화하는 관세표이며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증권이고 국제 회의장에서 휘둘러지는 규율의 도구다. 2050년 탄소중립, 2040년 90% 감축이라는 숫자는 과학…

태일루 기자 2025.08.18

주차장, 불볕 더위 속 ‘친환경 발전소’로 변신한다 - 신재생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금년 11월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및 하위 고시인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일부 개정안을 마련하여 8월 14일(목)부터 9월 23일(화)까지 입법·행정예고를 실시한다…

박담 기자 2025.08.14

기후·에너지 정부조직 개편, 통합 거버넌스 구축 시급 - 국회입법조사처, 조직개편 쟁점·과제 분석 보고서 발…

국회입법조사처가 기후·에너지 관련 정부조직 개편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직 개편은 통합과 균형의 원리 아래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후위기 대응은 환경부 ‘…

박담 기자 2025.08.14

건물부문 탄소중립, 민간 건축물까지 확산 - 올해 12월부터 1천㎡ 이상 민간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기…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가 민간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강화를 위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개정안을 마련하고 8월 13일부터 20일간 행정 예고에 들어간다. 이번 개정은 그간 공공 부문 중심으로 추진해 온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정책을 민간까지 확산하는 조…

박담 기자 2025.08.12

[태일루의 시선] 전기는 빚으로 흐른다 – 한전 재무 현황 개선, 재생 에너지가 답

한국전력의 재무제표를 펼치면 전력은 에너지보다 부채의 형체로 먼저 다가온다. 2021년 말 60조 원이던 부채는 2024년 120조 원으로 불어났다.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112%에서 619%로 여섯 배 가까이 치솟았다. 영업이익 3조 원을 회복한 2024년에도, 연간…

태일루 기자 2025.08.11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논의… 환경·재생에너지 업계 ‘엇갈린 시선’

정부가 에너지 정책 부처 개편을 추진하면서 환경부로 에너지 업무를 이관하는 방안이 유력해지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구상하는 ‘기후환경에너지부’(가칭)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던 재생에너지·전력 정책 일부를 통합해 기후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전담하게 된다. 환경단체…

박담 기자 2025.08.08

[태일루의 시선] LMP 효용성과 선결 과제

전기는 흘러야 하고, 흐르지 못하면 부패한다서울의 여름은 더 이상 ‘무더위’라고 부를 수 없다. 이것은 폭력이다. 폭염 속에서 돌아가는 에어컨, 냉장 창고, 데이터 서버, 심지어 카페 구석의 노트북까지—모두 전기를 탐욕스럽게 흡수한다. 전기는 무한하지 않다. 그리고 무…

태일루 기자 2025.08.04

정부,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세계 각국이 전력망 투자에 과감히 나서는 가운데, 우리도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으로 전력망 전환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ESS 등 분산 에너지를 AI 기술로 …

박담 기자 2025.08.01

폭염 속 전력수요 급증…태양광 발전, 시간대별 최대 22% 기여

7월 넷째 주, 전국을 강타한 폭염 속에 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태양광 발전이 시간대별로 최대 22%까지 수요를 감당하며 전력 수급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거래소(KPX)에 따르면 7월 25일과 28일 오후 2시 무렵 전국 총전력수요…

박담 기자 2025.07.29

윤준병 의원,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 대표 발의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국회의원(전북 정읍·고창)이 21일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법’을 대표 발의했다. 농지 위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농사와 발전을 병행하는 이른바 ‘영농형 태양광’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 농가 소득을 높이고 탄소 중립 전환을 가속하겠다는 취지다. …

박담 기자 2025.07.21

정부, RE100 산업단지 법제화 본격 착수

한전 재정 악화 우려 속, 전력요금 인센티브 논란 불붙어정부가 기업 대상 ‘RE100 산업단지’ 법제화에 본격 착수했다. 대통령실은 7월 내 특별법 입법예고를 지시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관련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규제 특례와 전기요금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 중이다.RE10…

박담 기자 2025.07.18
기사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