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안 국무회의 의결 (3월18일) > 정책/법

본문 바로가기

정책/법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안 국무회의 의결 (3월18일)

profile_image
이지영 기자
2025-03-18 22:52 0

본문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이하 '전력망특별법') 제정 법률안이 3월 18일(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 


이번에 의결된 전력망특별법은 전력망 주민수용성 저하로 인해 무탄소 전원의 전력계통 연계, AI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대한 전력공급 차질 등이 우려됨에 따라 그 제정 필요성이 각계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여야 국회의원 12명이 발의하여 지난 2월27일 국회를 통과하였다. 


23561b4a45302abed4c28eba7347b3dc_1742305902_4091.GIF


이 법 제정에 따라, 정부는 우선 범정부,지자체,전문가가 참여하는 총리 소속의 "국가기간 전력망확충위원회(이하 "위원회")를 설치하여 국가기간 전력망 건설 관련 갈등을 중재한다. 아울러 선하지 매수 청구권, 주민 재생 e사업 지원 등 주민 보상,지원 확대와 함께 경과 지자체에 대한 지원도 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허가 의제 확대(기존 18개에서 35개), 부대사업 관련 인허가 지연 방지 방안 등이 도입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법 시행에 맞춰 구체적인 보상,지원 확대책 등 하위법령 제정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한 위원회 구성, 지자체 및 지역사회에 대한 소통, 홍보 등 시행 준비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력망특별법 제정으로 국가기간 전력망 주민수용성이 제고되고 인허가 지연이 해소되어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 확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하위법령 제정 등 시행 준비와 함께 국가기간 전력망 적기 확충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8 건 - 4 페이지

열람중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안 국무회의 의결 (3월18일)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이하 '전력망특별법') 제정 법률안이 3월 18일(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 이번에 의결된 전력망특별법은 전력망 주민수용성 저하로 인해 무탄소 전원의 전력계통 연계, AI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대한 전력공급 차질 등이 우려됨…

이지영 기자 2025.03.18

[기획:정부의 에너지 정책]태양광, 신재생에너지 중요한 축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에너지 정책에서 중요한 변화를 발표했다. 윤석열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목표로 여러 가지 에너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주요변화 부분은 크게 다섯가지로 ①원자력 에너지 확대 ②에너지 수요 효율화 및 시장구조 …

김선웅 2025.01.20

태양광·풍력 설비 2030년까지 3배로…"RE100 적극 대응"

11차 전기본 실무안 '신재생 드라이브'…10차 계획보다 보급속도 높여원전·신재생 등 '무탄소 발전' 비중 2030년 50%·2038년 70%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2024년부터 2038년까지 15년간의 전력수급 밑그림을 그린 11차 전력수급기본계…

김선웅 2025.01.20
기사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