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일루의 시선] 버려지는 전기, 대규모 산업 단지 수도권 고집 인식 버려야 > 정책/법

본문 바로가기

정책/법

[태일루의 시선] 버려지는 전기, 대규모 산업 단지 수도권 고집 인식 버려야

profile_image
태일루 기자
2025-07-23 13:57 0

본문

전남 해남의 들녘은 여전히 태양을 품는다. 오후 1시, 모듈 위로 바람이 지나가고 인버터는 묵묵히 출력 수치를 올린다. 그러나 이 전기는 어디에도 가지 못한다. 2.4GW. 전남·광주 지역에서만 계통에 연결되지 못하고 대기 중인 발전 용량이다. 전북까지 합치면 4GW를 넘긴다. 원자력발전소 네 기가 하릴없이 가동만 하고 있는 셈이다.


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만, 흘려보낼 길이 없다. 왜냐고? 망이 없다. 전력망, 송전선, 접속점, 어디 하나 제때 확충된 것이 없다. 발전사업자들은 대기표만 붙잡고 수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송전선은 수도권으로만 향해 있고, 변전소는 이미 포화다. '수요가 없어서 그렇다'고? 그건 핑계다. 수요는 있고 수요는 움직일 수 있다.


진짜 문제는 사람이 안 간다는 것보다 가지 않으려 한다는 데 있다.


용인, 평택, 수원. 엔지니어들이 희망 근무지로 꼽는 ‘남방 한계선’이다. 그 아래로는 경력을 쌓기 위한 임시 주둔지일 뿐 미래를 건 자리로 여기지 않는다. 전남에서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는 말에 의심부터 하고 전북에서 RE100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계획에 반신반의한다. 이는 지방의 문제가 아니다. 수도권에만 머무르려는 전체 산업 생태계의 사고방식이 병들어 있는 것이다.


서울이 아니라도 된다. 수도권이 아니라도 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빛은 남쪽에서 생산되고 있다. 전력의 중심이 남하했는데 왜 산업은 그대로인가?

왜 RE100 공장을 경기 남부에 짓고 왜 인재 양성도 서울 테두리에서만 이뤄지는가?

수도권의 땅값, 인건비, 계통 포화, 미세먼지까지 감안하면 이제는 대규모 산업이 지방으로 내려가야 할 시간이다.


과감해야 한다.

RE100을 진짜로 할 생각이라면 전북 김제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전남 해남에 반도체 전력 테스트베드를 만들어야 한다.

해외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해 사막과 해안에 공장을 짓듯이 우리도 이제는 ‘광역 경제권’ 개념을 버리고, 전력망을 따라 산업을 옮겨야 한다.


정부는 8.9GW의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망 확충을 이야기하지만 그보다 선행돼야 할 건

“사람이 움직이게 만드는 비전”이다.


에너지 기반 스타트업이 전남 나주에 본사를 두는 일이 더 이상 이상해 보이지 않아야 한다.

지역 거점 국립대와 함께 R&D를 묶고 기업이 수도권이 아닌 남해안에 본사를 이전할 때 세금과 금융을 통째로 우대해줘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더 늦기 전에 말해야 한다.

“모든 전력은 수도권으로 가야 한다”는 말은, 틀렸다.

이제는 "수도권이 전력을 따라 내려가야 한다.”


버려지는 전기보다 더 안타까운 건,

지금 이 순간에도 바뀌지 않는 잘못된 중심성이다.


남부 지방은 태양이 뜨는 곳이다.

이제는 거기에 산업도 뜨게 해야 한다.


69ed022f50280615169c29e3f4808c9a_1753247129_1481.JP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 건 - 1 페이지

탈탄소 녹색 문명 전환을 선도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탈탄소 녹색 문명 전환이라는 비전을 책임있게 이행하기 위해 기후 정책 총괄 기능과 탄소중립의 핵심 이행 수단인 에너지 기능을 통합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0월 1일자로 출범한다고 밝혔다.기후에너지환경부 조직도새롭게 출범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차관…

박담 기자 2025.10.01

[태일루의 시선] 한국에너지공단 RPS 설비 등록 지연의 참사- 손해는 오롯이 국민들에게...

태양은 멈추지 않는다. 매일 아침 똑같이 빛은 쏟아지고 모듈은 그 빛을 전기로 바꾼다. 인버터는 소음을 내며 돌아가고 전력은 송전망을 타고 흘러간다. 그러나 이 모든 흐름이 하나의 문서와 전산 절차 앞에서 가로막힌다. 태양광 사업자들이 오늘날 가장 많이 토로하는 현실은…

태일루 기자 2025.09.29

[태일루의 시선] 머뭇거림의 시간은 끝났다, 국민은 기후 위기 대응을 요구한다

국민은 이미 알고 있었다. 여름의 땡볕 아래에서, 갑작스런 폭우에 무너진 골목길에서, 연일 이어지는 미세 먼지의 흐린 하늘에서. 기후위기는 더 이상 추상적 경고가 아니었다.설문은 그것을 숫자로 고정했다. 기후솔루션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전국 주요 지역 성인 2000명을 …

태일루 기자 2025.09.22

발전 공기업 통폐합...효율성이냐, 지역 경제냐 딜레마

정부가 한국전력 산하 발전 자회사들의 통폐합을 본격적으로 검토하면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최근 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중복 기능 해소와 재생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평가와 함께 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칠 부정적 파급 효과를 동시에 경고했다.&nb…

박담 기자 2025.09.21

[태일루의 시선] 원전 집착은 시간 낭비, 해답은 재생 에너지

어제 기자 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에너지 정책의 가장 뜨거운 질문을 정면으로 받았다. 신규 원전 건설을 확대할 수 있느냐는 물음, 그리고 기후환경에너지부 개편이 정책 혼란을 부르지 않겠느냐는 우려였다. 대통령의 답변은 단순한 설명을 넘어 오늘 한국이 서 있는 …

태일루 기자 2025.09.12

[태일루의 시선] 속도를 잃은 에너지 정책, 내년 지방선거가 마지막 시간표

세 개의 논란이 한꺼번에 몰려온다. 정부 조직 개편의 상징이 될 줄 알았던 기후에너지부 신설은 후퇴했고 한수원이 체결한 웨스팅하우스 계약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기술 주권을 잃었다는 자책을 낳는다. 여기에 AI 데이터센터 전력 위기는 산업의 미래를 가르는 전쟁처…

태일루 기자 2025.09.08

주민 주도형 햇빛 연금·난방 전기화…2026년 재생 에너지 전환 본격화

환경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태양광과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신규 사업을 대거 포함시켰다. 화석연료 기반 지원을 줄이고 재생 에너지 중심으로 지출구조를 조정하면서 지역 주민과 생활 현장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예고된다. 2026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안 총지출은 올…

박담 기자 2025.09.03

[태일루의 시선] 탄소 중립을 가로막는 재생 에너지 접속 제한

전력망은 고속도로다. 송전선은 빛을 실어 나르고 발전기는 그 길 위를 달린다. 그런데 한국의 재생에너지 도로에는 방지턱이 있다. 이름은 화력발전기의 ‘최소발전용량’. 안전과 환경을 이유로 발전소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출력 하한선이다. 그러나 그 수치는 국제 권고보다 …

태일루 기자 2025.09.01

정부,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산업통상자원부가 재생에너지 수용성 확대를 위한 전력망 혁신 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8월 29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25년 제2차 전력계통혁신포럼」을 열고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계통 수용을 위한 실행 과제를 논의했다. 이번 포럼에는 국가기술표준원, 한국…

박담 기자 2025.08.29

국내외 기후환경단체 33곳, 국제사법재판소 권고에 맞춰 2035 NDC 상향 요구

기후 솔루션, 플랜1.5, PISFCC, WYCJ, Earthjustice, CIEL 등 33개 국내외 기후환경단체가 ‘기후변화 대응은 모든 국가의 의무’라고 명시한 국제사법재판소(ICJ) 권고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가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파리기…

박담 기자 2025.08.28

RE100 이행률 여전히 낮은 국내 기업…정부, 제도 개선 속도

국내 기업들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이행률이 글로벌 평균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제도 개선과 기술 도입을 통해 돌파구 마련에 나서고 있다. 오는 8월 26일부터 사흘간 부산에서 열리는 2025 아·태 재생에너지…

박담 기자 2025.08.24
기사 전체검색